배워서 남 주자

Math/Category Theory

[Category] 9. Limit and Colimit

신라면순한맛 2022. 7. 21. 20:00

목차

  • 시작하면서...
  • Limit
    • Definition of limit
      • Step 1
      • Step 2

    • Universal property of limit

  • Colimit
    • Definition of colimit
    • Universal property of colimit

  • Examples
    • Product and Coproduct
    • Initial and Terminal object
    • Kernel and Cokernel

  • Right adjoint is continuous
    • Definition of continuous and cocontinuous
    • Observation
    • Proof
    • Example

  • 마무리

 


 

시작하면서...

대수기하를 하는데 필요한 category theory의 마지막 concept으로써 limitcolimi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지금까지 다룬 내용 말고도 더 필요하겠지만 그건 공부하면서 채워나가려고 한다.

 


 

Limit

Definition of limit

$S\in\mathtt{SETS}$를 discrete category로 보고, $I$를 small category($Mor(I)$가 set인 것)라고 하자. 이 때 covariant functor $\alpha:I\longrightarrow\mathcal{C}$를 inductive system, contravariant functor $\beta:I^{op}\longrightarrow\mathcal{C}$를 projective system이라고 부른다. 지금부터 $\beta$의 limit과 $\alpha$의 colimit을 각각 정의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limit의 정의만 살펴보자.

 

Step 1

우선 $\mathcal{C}=\mathtt{SETS}$라고 하자. 이 때 $S$의 임의의 morphism $s:i\longrightarrow j$에 대하여 $\beta(s):X_j\longrightarrow X_i$임을 상기하고 limit의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다.

$$ \lim_{\longleftarrow}\beta:=\{(x_i)_{i\in I}\in\prod_{i\in I}X_i\::\:\beta(s)x_j=x_i\text{ for all } s:i\longrightarrow j\} $$

 

이렇게 정의한 것만 보면 뭘 정의한건지 와닿지가 않는다. 아래의 statement는 set version의 limit의 universal property이다. 

$$ Hom_{\mathtt{SETS}}(X, \lim_{\longleftarrow}\beta)\cong\lim_{\longleftarrow} Hom_{\mathtt{SETS}}(X,\beta) $$

which is natural in $X\in\mathtt{SETS}$.

 

우선 우변의 limit을 이루는 functor는

$$ Hom_{\mathtt{SETS}}(X,\beta):I^{op}\longrightarrow\mathtt{SETS},\quad i\mapsto Hom_{\mathtt{SETS}}(X,\beta(i)) $$로 정의되는 contravariant functor이므로 위의 natural bijection 식 자체는 make sense하다. 

 

실제로 natural bijection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displaystyle\varphi\in Hom_{\mathtt{SETS}}(X,\lim_{\longleftarrow}\beta)$를 하나 고정하자. 그러면 product $\displaystyle(\prod_{i\in I}X_i, (p_i))$에 대하여 각 $i\in I$마다 $\varphi_i:=p_i\circ\varphi$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displaystyle(\varphi_i)_{i\in I}\in\prod_{i\in I}Hom_{\mathtt{SETS}}(X,X_i)$이 되고 더 나아가 $\displaystyle(\varphi_i)_{i\in I}\in\lim_{\longleftarrow} Hom_{\mathtt{SETS}}(X,\beta)$이다. 이는 $\beta(s)\circ\varphi_j=\varphi_i$, 즉 모든 $x\in X$에 대하여 $\beta(s)(\varphi_j(x))=\varphi_i(x)$임만 보이면 성립하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한 쪽 mapping $\varphi\mapsto (\varphi_i)_{i\in I}$를 구했다.

    


 

반대로 $\displaystyle(\psi_i)_{i\in I}\in\lim_{\longleftarrow} Hom_{\mathtt{SETS}}(X,\beta)$을 고정하자. 그러면 이는 $Hom_{\mathtt{SETS}}(X,\beta(s))\psi_j=\psi_i$가 됨을 뜻하고, 다시 말하면 $\beta(s)\circ\psi_j=\psi_i$가 됨을 뜻한다. 이로부터 각 $x\in X$마다 $\beta(s)(\psi_j(x))=\psi_i(x)$이므로 $\displaystyle(\psi_i(x))_{i\in I}\in\lim_{\longleftarrow}\beta$가 됨을 안다.

 

이제 $$ \psi:X\longrightarrow\lim_{\longleftarrow}\beta,\quad x\mapsto(\psi_i(x))_{i\in I} $$를 정의해주면 이는 잘 정의된 map이고 $\displaystyle\psi\in Hom_{\mathtt{SETS}}(X,\lim_{\longleftarrow}\beta)$가 됨을 안다.

 

즉, 반대쪽 mapping $$(\psi_i)_{i\in I}\mapsto\psi$$를 얻었다.

 

이렇게 정의한 두 map은 서로 inverse 관계를 가져서 bijection을 주고, 더 나아가 $X$에 관한 naturality가 성립하는걸 보이면 natural bijection이 보여지게 된다. 이에 대한 증명은 생략한다.

 

 

Step 2

이제 일반적인 category $\mathcal{C}$에서 limit을 정의해보도록 한다. $\beta:I^{op}\longrightarrow\mathcal{C}$를 contravariant functor라고 하자.

 

그러면 각 $$X\in\mathcal{C}$$에 대하여 $$ Hom_{\mathcal{C}}(X,\beta):I^{op}\longrightarrow\mathtt{SETS},\quad i\mapsto Hom_{\mathcal{C}}(X,\beta(i)) $$ 또한 contravariant functor가 된다. 위 step 1에서 contravariant functor $I^{op}\longrightarrow\mathtt{SETS}$에 대해서는 limit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Hom_{\mathcal{C}}(X,\beta)\in\mathtt{SETS}$은 정의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contravariant functor $F\in Fct(\mathcal{C}^{op},\mathtt{SETS})$를 정의할 수 있다.

object는 $$ F(X):=\lim_{\longleftarrow}Hom_{\mathcal{C}}(X,\beta),\quad X\in\mathcal{C} $$ 로 대응하게끔 하고,
morphism $f:X\longrightarrow Y$는 아래의 diagram이 commute하도록 $Ff$를 정해준다. ($\psi_i:=f^*(\varphi_i)$라 할 때 $Ff((\varphi_i)):=(\psi_i)$가 되도록. 그러면 $\beta(s)\circ\psi_j=\psi_i$를 만족시킨다.) $$ Ff:\lim_{\longleftarrow}Hom_{\mathcal{C}}(Y,\beta)\longrightarrow\lim_{\longleftarrow}Hom_{\mathcal{C}}(X,\beta) $$

이렇게 정의된 $F$는 representable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당연히 category $\mathcal{C}$가 무엇이냐에 따라 다를 것이다.) 이제 $F$가 representable이라고 가정하고 이 때의 representation을 $L\in\mathcal{C}$이라고 써보자. yoneda embedding 관점에서는 $ h_L\cong F $이고 좀 더 구체적으로 쓰면 각 $X\in\mathcal{C}$에 대해

$$ Hom_{\mathcal{C}}(X,L)\cong\lim_{\longleftarrow}Hom_{\mathcal{C}}(X,\beta) $$

가 된다. ($X$에 대한 naturality.) canonical morphism을 찾기 위해 $X=L$이라고 하면 

$$ Hom_{\mathcal{C}}(L,L)\cong\lim_{\longleftarrow}Hom_{\mathcal{C}}(L,\beta) $$

이 되면서 좌변에서 $id$를 택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는 우변의 값을 $(p_i)_{i\in I}$라 써보자. 그러면 이는 $\beta(s)\circ p_j=p_i$를 만족시키고, 더 나아가 $X$에 관한 naturality를 적용해보면 임의의 morphism $f:X\longrightarrow L$에 대해 다음의 commutative diagram이 성립하게 된다.

마지막 점선 부분을 다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우리는 이 때의 $L$을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beta$로 쓰고

$$ \bigg(\lim_{\longleftarrow}\beta, (p_i)_{i\in I}\bigg) $$

를 $\beta$의 limit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limit은 방금 본 naturality로부터 universal property를 가짐을 안다.

 

 

Universal property of limit

위에서 본 limit의 universal property를 정돈하여 쓰면 아래와 같다.

projective system $\beta:\mathcal{I}^{op}\longrightarrow\mathcal{C}$가 주어졌다고 하자. 각 $s:i\longrightarrow j$마다 $\beta(s)\circ\alpha_j=\alpha_i$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alpha_i:X\longrightarrow\beta(i))_{i\in I}$에 대하여 unique morphism $\displaystyle\alpha:X\longrightarrow\lim_{\longleftarrow}\beta$가 존재하여 $p_i\circ\alpha=\alpha_i$를 만족한다.

compatible 혹은 coherent한 condition $\beta(s)\circ\alpha_j=\alpha_i$를 만족시키는 object $X$ 중에서는 limit이 terminal object임도 알 수 있다.

 


 

Colimit

Definition of colimit

colimit을 정의하는 것은 limit 정의의 analogue이므로 바로 정의만 하고 넘어간다.

$\alpha:I\longrightarrow\mathcal{C}$를 inductive system이라고 하자. 각 $X\in\mathcal{C}$마다 다음의 contravariant functor를 정의한다.

$$ Hom_{\mathcal{C}}(\alpha,X):I^{op}\longrightarrow\mathtt{SETS},\quad i\mapsto Hom_{\mathcal{C}}(\alpha(i),X) $$

그러면 우리는 $X$마다 위 functor의 limit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Hom_{\mathcal{C}}(\alpha, X)$를 생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아래의 functor

$$ X\mapsto\lim_{\longleftarrow}Hom_{\mathcal{C}}(\alpha, X) $$

를 고려할 수 있다. 이 functor가 representable할 때, 이 때의 representation을

$$ \lim_{\longrightarrow}\alpha $$

로 쓰고,

$$ \bigg(\lim_{\longrightarrow}\alpha,(\iota_i:\alpha(i)\longrightarrow\lim_{\longrightarrow}\alpha)_{i\in I}\bigg) $$

를 $\alpha$의 colimit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iota_i)_{i\in I}$는 canonical morphism이고 위의 limit과 같은 방식으로 구할 수 있다.)

 

 

Universal property of colimit

이것도 statement만 남긴다.

inductive system $\alpha:I\longrightarrow\mathcal{C}$가 주어졌다고 하자. 각 $s:i\longrightarrow j$마다 $f_i=f_j\circ\alpha(s)$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f_i:\alpha(i)\longrightarrow X)_{i\in I}$에 대하여 unique morphism $\displaystyle f:\lim_{\longrightarrow}\alpha\longrightarrow X$가 존재하여 $f\circ\iota_i=f_i$를 만족한다.

coherent한 condition $f_i=f_j\circ\alpha(s)$를 만족시키는 object $X$ 중에서는 colimit이 initial object임을 알 수 있다.

 


 

Examples

Product and Coproduct

두 개의 object $\bullet_1$, $\bullet_2$를 갖는 discrete category를 $\mathbf{2}$라고 하자. 그리고 또 다른 category를 $\mathcal{C}$라 하자.

    

$\bullet_1\mapsto A$, $\bullet_2\mapsto B$로 보내는 inductive system $\alpha:\mathbf{2}\longrightarrow\mathcal{C}$와 projective system $\beta:\mathbf{2}^{op}\longrightarrow\mathcal{C}$에 대하여 $\displaystyle\lim_{\longrightarrow}\alpha$와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beta$는 각각 무엇일까?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s:i\longrightarrow j$에 해당하는 것을 생각해야 할텐데, 애초에 discrete category이므로 자기 자신으로 가는 morphism뿐이다. 결국 $\alpha$의 colimit을 찾는다는 것은 모든 $i=1,2$에 대하여

를 만족시키는 universal한 morphism $\displaystyle f:\lim_{\longrightarrow}\alpha\longrightarrow C$의 존재를 보장받을 수 있는 object를 찾을 수 있냐는 말과 같은데, 우리는 이러한 성질을 만족하는 object를 이미 다룬 적 있다. 바로 coproduct $A\oplus B$이다! 비슷하게 $\beta$의 limit은 product $A\times B$가 된다. 

 

이로부터 product와 coproduct는 limit과 colimit의 한 종류임을 알 수 있다. (product와 coproduct에 대한 posting은 여기

 

 

Initial and Terminal object

이번에는 empty category $\emptyset$을 생각해보자. $\alpha:\emptyset\longrightarrow\mathcal{C}$와 $\beta:\emptyset^{op}\longrightarrow\mathcal{C}$의 colimit과 limit은 각각 무엇일까?

 

limit만 생각해보도록 하자. 이번에도 $s:i\longrightarrow j$와 같은 것을 생각할텐데, empty category는 object set이 empty set이므로 나올 수 있는 $s$가 없게 된다. 즉, 임의의 object $$X\in\mathcal{C}$$에 대하여 morphism $$ X\longrightarrow\lim_{\longleftarrow}\beta $$ 의 존재를 항상 보장받아야 한다는 뜻이 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object를 `terminal object`라 한다. 즉, limit은 terminal object이다.

 

비슷하게 colimit은 임의의 $$X\in\mathcal{C}$$에 대하여 morphism

$$ \lim_{\longrightarrow}\alpha\longrightarrow X $$

의 존재를 보장받아야 하는데,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object를 initial object라고 하고, 이로부터 colimit은 initial object임을 안다.

    

 

Kernel and Cokernel

마지막으로 다음과 같은 gamma category $\Gamma$를 생각해보자. (생긴게 gamma같이 생겨서 gamma category다.)

projective system $\beta:\Gamma^{op}\longrightarrow A\text{-}\mathtt{MOD}$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고 하자.

이 때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beta$는 무엇일까? limit이 무엇인지는 몰라도 우선 컨셉을 잡기 위해 아래의 그림을 생각해보았다.

그러면 $p_1=p_2=0$이고 $f\circ p_3=0$이어야 한다. $f$를 통해 가면 $0$이 되는 것이라... 여기서 kernel을 생각하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universal property 입장에서 살펴보자. 임의의 $A$-module $X$와 $\beta(s)$와 coherent한 $A$-linear maps  $$g_1:X\longrightarrow 0,\quad g_2:X\longrightarrow N,\quad g_3:X\longrightarrow M$$ 를 생각하면, coherence에 의해 $g_1=g_2=0$임을 안다. 이제 이를 기반으로 아래의 diagram을 살펴보자. (이 때 어차피 $0\longrightarrow N$ 관련해서는 다 $0$이므로 그림에서 제외하였다.)

즉, $f\circ g_3=0$이고 $p_3\circ g=g_3$를 만족해야 한다. $g_3$의 이미지를 $f$를 태워보내면 $0$이 되어야 하니, 이로부터도 $g_3$의 image는 $\ker f$에 속해야 함을 안다. 따라서 $\beta$의 limit은 $f$의 kernel이다.

 

비슷하게 inductive system $\alpha:\Gamma\longrightarrow A\text{-}\mathtt{MOD}$에 대해서도 생각해보면 $\alpha$의 colimit은 $f$의 cokernel임을 알 수 있다.

 


 

Right adjoint is continuous

Definition of continuous and cocontinuous

지금까지 limit과 colimit을 다뤄보았다. 해석학에서 real-valued function이 limit와 commute할 수 있다는 것과 continuous가 동치이듯, category에서도 continuouscocontinuous를 정의한다. 

 

Functor $F:\mathcal{C}\longrightarrow\mathcal{C}'$이 continuous라고 하는 것은, projective system $$\beta:I^{op}\longrightarrow\mathcal{C}$$에 대하여

$$ F\lim_{\longleftarrow}\beta\cong\lim_{\longleftarrow}F\beta $$

를 만족할 때이다. 비슷하게 injective system $\alpha:I\longrightarrow\mathcal{C}$에 대하여 

$$ F\lim_{\longleftarrow}\alpha\cong\lim_{\longleftarrow}F\alpha $$

를 만족할 때 $F$가 cocontinuous하다고 한다. 

 

 

Observation

Functor $F:\mathcal{C}\longrightarrow\mathcal{C}'$과 projective system $\beta:I^{op}\longrightarrow\mathcal{C}$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F\beta:I^{op}\longrightarrow\mathcal{C}\longrightarrow\mathcal{C}'$ 또한 projective system이 된다.

 

$F$와 $F\beta$의 limit이 각 category에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beta$의 limit이 갖는 coherent map을 functor $F$를 태워보낼 수 있을텐데, 이 때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F\beta$의 universal property에 의해 다음과 같은 canonical map $f$의 존재를 보장받는다.

이로부터 각 limit이 존재한다고 하면 둘 사이의 canonical morphism이 있는 것까지는 보였다. 이제 $F$가 right adjoint라면 이 map이 사실은 동형이라는 것을 보이고자 하는 것이다.

 


 

Proof

$F:\mathcal{C}\longrightarrow\mathcal{C}'$을 right adjoint라고 하고 $E\dashv F$라 쓰자. 그리고 projective system $\beta:I^{op}\longrightarrow\mathcal{C}$를 고정하자.

 

그러면 임의의 $X\in\mathcal{C}'$에 대하여, $E\dashv F$이므로 

$$ Hom_{\mathcal{C}'}(X,F\lim_{\longleftarrow}\beta)\cong Hom_{\mathcal{C}}(EX,\lim_{\longleftarrow}\beta) $$가 성립하고,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beta$의 universal property에 의해

$$ Hom_{\mathcal{C}}(EX,\lim_{\longleftarrow}\beta)\cong\lim_{\longleftarrow}Hom_{\mathcal{C}}(EX,\beta) $$

가 성립한다. 다시 $E\dashv F$이므로

$$ \lim_{\longleftarrow}Hom_{\mathcal{C}}(EX,\beta)\cong\lim_{\longleftarrow}Hom_{\mathcal{C}'}(X,F\beta) $$

가 되고, $\displaystyle\lim_{\longleftarrow}F\beta$의 universal property에 의해

$$ \lim_{\longleftarrow}Hom_{\mathcal{C}'}(X,F\beta)\cong Hom_{\mathcal{C}'}(X,\lim_{\longleftarrow}F\beta) $$

가 됨을 안다. 즉, 정리하면

$$ Hom_{\mathcal{C}'}(X,F\lim_{\longleftarrow}\beta)\cong Hom_{\mathcal{C}'}(X,\lim_{\longleftarrow}F\beta) $$

이므로 Yoneda lemma에 의해

$$ F\lim_{\longleftarrow}\beta\cong\lim_{\longleftarrow}F\beta $$

가 성립하게 된다.

 

그러므로 $F$는 continuous이다. 

 

덧으로, 방금 yoneda lemma로부터 나온 isomorphism은 Observation에서 잡은 $f$와 같은 morphism이다. 왜냐하면 limit은 terminal object이기 때문이다.) (하나 더 덧으로, left adjoint는 cocontinuous라는 명제 또한 보일 수 있는데, 이는 대칭적이므로 생략한다.)

 


 

Example

이전 포스팅에서 다뤘던 adjunction

$$ -\otimes_A N\dashv Hom_{A\text{-}\mathtt{MOD}}(N,-) $$

을 상기해보자. 

  

이 Hom functor는 right adjoint이고, 위에서 보였듯 kernel은 limit이기 때문에 right adjoint인 Hom functor와 commute 하게 된다. (continuity) 따라서 Hom functor는 left exact 하다는 것까지 알 수 있다. 비슷하게 tensor functor는 left adjoint이고, 위에서 언급했듯 cokernel은 colimit이기 때문에, tensor functor와 cokernel은 서로 commute하게 된다. (cocontinuity) 이로부터 tensor functor는 right exact하다는 것을 안다.

 


 

마무리

여기까지 해서 길고 길었던 category theory의 정리를 일단락 한다. 추후 대수기하 공부를 하다가 필요한 내용이 있으면 추가할 예정이다. category를 공부하는 누군가가 이 포스팅들을 보고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Math > Category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tegory] 8. Product and Coproduct  (0) 2022.07.21
[Category] 7. Adjoint Pair  (0) 2022.07.21
[Category] 6. Representable Functor  (0) 2022.07.21
[Category] 5. Yoneda Lemma  (0) 2022.07.21
[Category] 4. Equivalence of Categories  (0) 2022.07.20